척추분리증의 원인
출생 시기에 이미가지고 태어난다는 주장도 있지만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심한 접촉이 많은 운동, 기계체조, 역도 선수에게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선천적 요인, 후천적인 외상 등이 함께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이란?
척추는 우리 몸의 기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건물의 기둥과 차이점은 척추는 여러 뼈가 연결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보통 위의 척추와 아래 척추가 서로연결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여러 원인으로 아래 뼈보다 위의 뼈가 튀어 나왔을때 척추전방전위증이라고 합니다.
즉, 안정적이어야 할 척추가 불안정해진 상태입니다. 흔히들 뼈가 뒤로 가 있다고 환자분들이 이야기하지만 의학적으로는 밑의 뼈에 비해서 앞으로 나가 전방전위증이라고 부릅니다. 목에서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허리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전방전위증 원인
01 척주분리증에 의한 경우는 척추에 금이 갔기 때문에 척추가 불안정해져 생깁니다.
02 퇴행으로 척추가 불안정하게 앞으로 나갈경우
척추전방전위증 진단
X-ray 검사로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전방전위증의 경우 측면사진으로 알 수 있으며, 분리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좌우 45° 에서 전부다 사면(비스듬하게)을 촬영하여 확인하게 됩니다. 전부다 사면(비스듬하게)촬영에서 강아지 모양의 형태가 보이는데 그 부위가 연결이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람을 엎드리게 했을 경우 전방전위증이 나타난 부분이 움푹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전방전위증 증상
가끔 다리부위 뒤쪽으로 피부에 통증이 있기도 하지만 다리의 감각이상이나 통증은 드뭅니다. 허벅지 뒤쪽의 근육인 슬건근 (hamstring m.)의 긴장에서 기인하는 비정상적인 보행이 나타나기도 하며, 좀 더 진행되면 무릎을 편 채로 무릎을 들어올리기 힘들어지며, 뒤뚱뒤뚱 걷는 걸음걸이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이 퇴행을 동반하면 퇴행성 관절염에 의한 통증과 척추분절의 불안정성에 기인하는 요통이 나타나며, 미끄러짐에 의한 척추관 협착증에서 오는 파행성 통증이 나타나 척추관협착증으로 오해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흔한 것은 다리 부위의 감각 이상이나 통증과 같은 허리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척추방전위증 수술을 해야 하나요?
척추전방전위증의 경우 통증을 못 느끼고 우연히 검사를 했더니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전방전위가 있다고 해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 수술보다 비수술적 치료법이 권장됩니다. 수술은 밑의 뼈와 비교하여 절반 이상이 앞으로 나간 경우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마비증세를 보이는 경우 고려합니다.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간단한 수술이 아닌 뼈끼리의 융합술을 시행하므로 몸에 많은 부담을 줄 수 있는 큰 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모커리한방병원의 치료등 충분히 비수술적 방법을 시행한 이후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척추방전위증 치료법
척추분리증은 인체의 기둥인 척추에 금이 간상태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약한 허리입니다. 즉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강한 허리를 만드는 것 입니다. 척추는 크게 척추뼈, 디스크, 인대, 근육, 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구성요소들이 튼튼한 척추를 강한 척추라고 하며, 강한 척추를 갖고 있으면, 디스크 같은 척추질환의 예방, 재활 및 재발 방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목허리만 보는 한방 치료는 환자분들에게 강한 척추를 만들어 드리는 근본적인 치료를 통해 척추분리증 및 전방정위증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강남이나 도곡동에 목허리만 보는 병원이 많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척추방전위증의 치료기간
01 통증을 제거하고 강한 목.허리를 만들기까지는 보통 3~6개월 정도 걸립니다.
02 전방정위증은 퇴행 및 척추관협착증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전방전위증의 경우 허리 주변의 뼈 조직과 인대, 근육은 수년에서 수십년 동안 진행되어 약한 목.허리가
되었기 때문에 6개월 이상 꾸준히 치료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03 환자의 전반적인 몸의 상태, 척추의 상태와 병에 따라 치료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동상과 동창예방법 (0) | 2011.01.17 |
---|---|
척추측만증초기증상 (0) | 2010.12.30 |
아기 아토피에 좋은 음식 (0) | 2010.12.29 |
유행성결막염초기증상 (0) | 2010.12.29 |
아폴로 초기증상 (0) | 2010.12.24 |